5
0
모바일로고
5
0
국제
프란치스코 교황의 유일한 혈육, 여동생의 안타까운 사연 [여기는 남미]
    임석훈 남미 통신원 juanlimmx@naver.com
    입력 2025.04.24 10:52
    0

프란치스코 교황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주교였던 베르골리오 추기경 시절인 2008년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는 모습이 언론에 잡혔다. AP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주교였던 베르골리오 추기경 시절인 2008년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는 모습이 언론에 잡혔다. AP 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이 88세로 선종하며 전 세계의 시선은 바티칸으로 쏠렸고, 그가 남긴 유산이 가톨릭 관계자와 언론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특히 교황이 태어난 아르헨티나는 일주일간 애도 기간으로 지정해 그의 생애와 청빈함을 조명하고 국민은 추모하기 위해 이탈리아 로마로 속속 건너가고 있다.

아르헨티나 언론은 교황청 소식통을 인용해 “프란치스코 교황이 사망 당시 자신의 명의로 갖고 있던 재산이 100달러였다”고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원화로 환산하면 14만원 정도가 교황이 남긴 유산의 전부였다는 것이다.

주교를 포함해 가톨릭의 모든 성직자는 직무 수행과 생계유지를 위해 월급을 받는다. 추기경의 월급은 4700달러에서 6000달러 사이, 700만~800만원 선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3년 3월 즉위하자마자 “교황직을 수행하는 건 영적인 봉사”라면서 월급을 받지 않았다.

현지 언론은 “프란치스코 교황은 추기경으로서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살 때도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했다”면서 그에게 절약과 검소함은 습관이자 삶의 철학이었다고 전했다.

교황 전용 관저 대신 추기경이 묵는 바티칸의 게스트하우스를 사용하겠다고 선언해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또 평소 사용한 십자가 목걸이는 1988년 주교가 됐을 때 장만한 것으로 철제 십자가였다.

언론은 “프란치스코 교황은 재물에 전혀 욕심을 내지 않았다”면서 “그는 생전에 측근들에게 자신이 가진 가장 큰 재산은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믿음이라고 말하곤 했다”고 보도했다.

모국 아르헨티나에도 재산을 남긴 것이 없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 프란치스코 교황이 태어난 생가가 남아 있지만 소유권은 이미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 있다.

교황의 네 동생 중에서도 지금은 여동생만 살아 있다. 12살 어린 마리아 엘레나 베르골리오는 건강이 좋지 않아 요양원에서 지내는 것으로 전해진다. 동생은 교황이 된 오빠를 만난 적이 없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재임 기간 중남미를 여러 차례 찾았지만 아르헨티나엔 가지 않았다. 정치 양극화가 극심한 아르헨티나에 자신의 방문을 각 정파가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하고 정치에 이용해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했기 때문이다.

언론은 “마리아 엘레나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큰오빠를 아버지처럼 여기고 의지했다”면서 “만나지는 못했지만 편지와 전화로 자주 소통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오빠에게 마지막 입맞춤을 해주고 싶어 하지만 건강 때문에 장례식에는 참석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아르헨티나는 교황이 선종한 21일 7일간의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부에노스아이레스 중심 오벨리스크에는 교황을 추모하는 빛으로 장식했다. 클라린이나 르프렌사 등 주요 미디어들도 톱뉴스는 물론 웹사이트를 그를 기리는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아르헨티나 에어라인 등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로마로 연결되는 항공편 좌석은 매진돼 장례식에 참석하려는 많은 이들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언론
    #티나
    #프란치스코
    #혈육
    #남미
    #아르
    #추기경
    #부에노스아이레스
    #교황
    #여동생
포인트 뉴스 모아보기
트렌드 뉴스 모아보기
이 기사, 어떠셨나요?
  • 기뻐요
  • 기뻐요
  • 0
  • 응원해요
  • 응원해요
  • 0
  • 실망이에요
  • 실망이에요
  • 0
  • 슬퍼요
  • 슬퍼요
  • 0
댓글
정보작성하신 댓글이 타인의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허위사실 유포 등에 해당할 경우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국제 주요뉴스
  • 1
  • “이슬람 경전 못 외우자 총격”… 인도 ‘카슈미르 테러’ 최소 26명 사망
    서울신문
    0
  • “이슬람 경전 못 외우자 총격”… 인도 ‘카슈미르 테러’ 최소 26명 사망
  • 2
  • “현직 대통령은 마약 중독자”…폭탄 주장에 발칵 뒤집힌 나라 [핫이슈]
    나우뉴스
    0
  • “현직 대통령은 마약 중독자”…폭탄 주장에 발칵 뒤집힌 나라 [핫이슈]
  • 3
  • ‘전라 노출’ 문신男, 야밤에 무슨 짓…‘경악 난동’에 사람 죽었다
    서울신문
    0
  • ‘전라 노출’ 문신男, 야밤에 무슨 짓…‘경악 난동’에 사람 죽었다
  • 4
  • "트럼프 관세, 美 경제 혼란"…뉴욕 등 12개주, 소송 제기
    아시아경제
    0
  • "트럼프 관세, 美 경제 혼란"…뉴욕 등 12개주, 소송 제기
  • 5
  • “자원자 2명, 430만원 드려요”…항공사, 승객에 ‘급하차’ 제안한 사연
    서울신문
    0
  • “자원자 2명, 430만원 드려요”…항공사, 승객에 ‘급하차’ 제안한 사연
  • 6
  • "AI 프롬프트 생성 이미지, 저작권 보호 안돼"…中서 첫 판결
    아시아경제
    0
  • "AI 프롬프트 생성 이미지, 저작권 보호 안돼"…中서 첫 판결
  • 7
  • (영상) “비행기 바퀴에 사람 있어요!”…‘폴짝’ 뛰어나와 공항 발칵 뒤집은 남성 [포착]
    나우뉴스
    0
  • (영상) “비행기 바퀴에 사람 있어요!”…‘폴짝’ 뛰어나와 공항 발칵 뒤집은 남성 [포착]
  • 8
  • WSJ "트럼프, 對中 관세 145%→50% 인하 검토"
    아시아경제
    0
  • WSJ "트럼프, 對中 관세 145%→50% 인하 검토"
  • 9
  • “트럼프, 대중 관세 145% → 50~65%로 완화 검토”
    서울신문
    0
  • “트럼프, 대중 관세 145% → 50~65%로 완화 검토”
  • 10
  • EU '애플·메타 1조 과징금' 부과에…백악관 "경제적 강탈" 발끈
    아시아경제
    0
  • EU '애플·메타 1조 과징금' 부과에…백악관 "경제적 강탈" 발끈
트렌드 뉴스
    최신뉴스
    인기뉴스
닫기
  • 투표
  • 스타샵
  • 뉴스